단축키 정리

Ae 단축키 / 콜로소 수업 정리

챌킴 2022. 4. 7. 20:01

Ae

 

  • Incresement and Save : Ctrl + Alt + Shift + S _더 높은 숫자로 연속 저장

  • File > [Dependancies]_ 파일 최적화
  1. Consolidate All Footage : 통합 + 같은 푸티지 파일 여러번 불러왔을 때, 하나로 합쳐줌
  2. Remove Unused Footage : 사용하지 않은 푸티지 + 빈 폴더 삭제
  3. Reduce Project : 프로젝트 윈도우에서 선택 컴프와 하위 컴프 뺀 나머지 것들 + 상위 컴프를 지운다

_<바로 저장버튼 눌러서 덮어 씌워버리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 후에 사용하기>

  1. Collect Files : 외부 소스들을 한 폴더 안에 저장해서 다른 컴퓨터에서도 똑같이 공유 작업할 수 있게

_<Collect시, Collect Source Files을 All로 지정해야 외부 소스들 모두 적용>

  • Import : Ctrl + I
  • 이펙트 창 열기 : Cmd + 5
  • 적용된 이펙트 보기 : 단축키 E
  • 적용된 모든 이펙트 삭제 : Ctrl + Shift + E

  • Import 레이어 화면에 Fit 맞춤 : Crtl + Alt + F
  • 정방형 비율 가져올때(높이기준) : Ctrl + Alt + Shift + G
  • 정방형 비율 가져올때(너비기준) : Ctrl + Alt + Shift + H


  • 키프레임 발로시티 (속도) : Ctrl+Shift+K _퍼센트 수치로 인플루언스 값 조절

  • 패스 모양 조절 (직선/곡선/멈춤/컨티뉴스 베지어) : Ctrl+Alt+K_키프레임 인터포레이션 (사이 채움 변수)
  1. Continuous Bezior : 양쪽 같이 움직임_ but, Alt누르면 한쪽씩 움직임 가능
  2. Bezier : 한쪽 따로 핸들 움직임 : F9는 바로 요렇게 됨
  3. Linear : 직선
  4. Hold : 다음 키까지 멈춰있기

  • [추가 키 설명] Roving : 작은 동그라미 ; 그래프 안에서 부드러운 값을 내기 위해 그래프 선안에서 적당한 시간을 찾아서 조금 오래 머물기 ↔ 커맨드 누르고 키 선택했을 땐 큰 동그라미 ; 오토 베지어 ; 중간을 부드럽게 만들어서 수치값 조절 가능 / 단, 이동시키면 컨티뉴스 베지어로 바뀜
  • Easy Ease : F9 (가속+감속 키프레임)
  • Easy Ease In : Shift + F9 : (감속 키프레임)_ 들어오면서 서서히 속도가 빨라짐
  • Easy Ease Out : Ctrl + Shift + F9 (가속 키프레임)_나가면서 서서히 속도가 빨라짐
  • Hold : Ctrl + Alt + H (생성하거나 해제하는 단축키) _ 두 키프레임 사이의 움직임 없이 고정되어 뚝뚝 끊기는 움직임 / Ctrl + Alt + 클릭하면 기존 > 바뀜

  • 렌더큐 : Ctrl + M : (mov_프로레스트 422 HQ)
  • 현재 프레임만 이미지 렌더 : Ctrl + Alt + S (composition > Save Frame as > File)
  • 램 프리뷰 : 0 (맥은 Cmd + 0 ) or Space bar [ 세부설정은 프리뷰 창에서 ]
  • 사운드만 재생 : Num ‘.’ ( 맥은 Cmd + Opt + . )

  • 선택된 레이어 타임라인에서 보기 : 단축키 X
  • Work Area (렌더 지정) : B-N
  • Work Area에 맞춰 컴포지션 듀레이션 자르기 : Ctrl + Shift + X / 레이어 오른쪽 클릭 Trim Comp to

  • 타임 리매핑 : Ctrl + Alt + T / 컴프 밖으로 나가서 우클릭 > Time > Enable Time Remapping (타임 리맵시 생겨나는 마지막 키프레임은 이미 컴프 끝남 → 한 프레임 앞에 키프레임 생성 후, 마지막 키프레임 삭제)
  • 루핑 : 타임리맵 혹은 P/S/R/T + Alt 눌러서 익스프레션 : loopout(”cycle”) > 넘버키쪽 엔터

  • 컴포지션 생성 : Ctrl + N
  • 컴포지션 수정/설정 : Ctrl + K
  • 프리컴프 : Ctrl + Shift + C

→ Leave all Attributes in~ : 모든 속성(키프레임, 이펙트 등)을 남긴채로 묶기→ Move all attributes into~ : 모든 속성(키프레임, 이펙트 등)을 새 컴프 안으로

  • 인디케이터 기점 왼쪽 자르기 : Alt + [
  • 인디케이터 기점 오른쪽 자르기 : Alt + ]
  • 자르기 : Ctrl + Shift + D

  • 타임인디케이터 한 프레임 이동 : Ctrl + ← → / +Shift : 10 프레임 이동
  • 키프레임간 이동 : J-K
  • 레이어 프레임 이동 : 선택된 상태에서 Alt + ← → / +Shift : 10 프레임

  • 맨 위로 올리기 : Ctrl + Shift + ]
  • 맨 아래로 내리기 : Ctrl + Shift + [
  • 한 칸씩 올리기 : Ctrl + ]

  • 키프레임 찍기 : Alt + Shift + P / S / T / R / A

  • 레이어 계단식 배열(오름차순) : 맨 아래 레이어 먼저 선택 + Shift + 맨 위 + 우클릭 > Keyframe Assistant > Sequence Layer
  • (내림차순) : 맨 위 + Shift + 맨 아래 + 우클릭 > Keyframe > Sequence Layer

  • 타임라인 창 확대 축소 : + -
  • 마진 확인 : 액션 세이프, 타이틀 세이프 : 작은 따옴표

  • 오디오 레벨 : 단축키 L
  • 오디오 파형 확인 : 단축키 LL
  • 속성(프로퍼티) 모두 펼치기 : 단축키 UU
  • 해당 프로퍼티 빼고 접기 : 단축키 SS

  • Align : Layers to Selection ( 도형기준 ) / Composition ( 컴포지션기준 )
  • 중심축 가운데 맞춤 : Ctrl + 앵커 더블클릭
  • 삼각형 아래 것 모두 확인 : Ctrl + ~ 키
  • 솔리드 생성 : Ctrl + Y
  • 솔리드 설정 : Ctrl + Shift + C
  • 마스크 단축키 : M
  • 마스크 패더 단축키 : F
  • 텍스트 생성 : Ctrl + Alt + Shift + T
  • 텍스트작성 완료 : Numberpad Enter
  • 일러스트에서 텍스트 붙여넣기 : Ctrl + Alt + Shift + T
  • 널 레이어 생성 : Ctrl + Shift + Alt + Y
  • Audjustment 레이어 : Ctrl + Alt + Y
  • Audjustment 설정 : Ctrl + Shift + Y

→ Effect창에서 Invert나 색조정 효과 가져와서 마스킹 가능

  • marker : Shift + 상단숫자키 / 맨 오른쪽 마커표시 끌어오기
  • 레이러 위에 marker : Ctrl + 8 / 넘버패드쪽 * (아무것도 안 누른 상태 → 컴포지션 위에 / 레이어 누른 상태 → 레이어 위에)
  • marker 제거 : Ctrl + 클릭
  • 이름바꾸기 : 더블클릭

  • 그래프창 활성화 : Shift _F3
  • 카메라 널 : Ctrl + Alt + Shift + C
  • 카메라 설정 : Ctrl + Shift + Y

→ 웬만하면 Two-Node Camera / Preset 50mm

  • 카메라 조절 : 단축키 C (C 누를 때마다 툴 바뀜)

→ 회전(Orbit) : 클릭 드래그→ 앞뒤(Track) : 우클릭 드래그

  • 쉐입레이어 : 단축키 Q

→ 처음 만들 때부터 상단에 베지어 패스 선택하면 처음부터 Path 속성이 살아있다

    • 포인터 : 단축키 V
    • 펜툴 : 단축키 G
    • Anchor 포인트 : 단축키 Y
    • Replace Footage : Ctrl + H



[무료 플러그인]

  • Saver : 네온
  • Duik : 애니메이션 리깅
  • Color Vibration : 칼라 지정
  • Decompose Text : 텍스트를 레이어로 쉽게 분리

[무료 이펙트 플러그인]

  • Sure Target 2 : 카메라 자동 포커스
  • VC Reflect : 반사 효과
  • Long Shadow : 그림자 효과


  • (Duik)듀익 스크립트로 이름 한번에 수정
  • 1. 지우기 : 위에 복사해서 색 바꿔주고 > 모두 선택된 상태에서 > 툴 도구 선택 > Search and Replace > Layer / Active comp / Don’t update expression 확인 > ex) 밑에 창에 한 칸 띄고 지울 부분 쓰기 > 그 밑에는 빈칸으로 수정 > Replace

        2. 바꾸기 : 선택된 상태에서 > Search and Replace > ex) 창에 L_ > R_ > Replace

  • (Duik)듀익 자동화 기능_ 렌덤으로 깜박거리기

-두번째 오토메이션 탭 > 쉐입 선택된 상태에서 Blink 아이콘 부분 각각 넣어주기 > Frequency 조절

  • (Duik)듀익 애니메이션 발로시티 조절

-Animation 툴 > 이지값 바 조절 / 곡선 조절

  • 그룹 안 그룹으로 딸려온 배경지우기 : Explode Shape Layers > Remove Artboard
  • 여러 레이어 키프레임 한꺼번에 복사 / 듀익꺼는 아직 문제많음 : Paste Multiple Keyprame :

 


 

  • 같은 위치 스피드 값이 높낮이 나눠져 있을 경우에 스피드값 합치기 방법 (멈춰보일 수 있기 때문)
  1. Comand+Alt+K > Tmeporal interpolation > Continuous Bezier
  2. Comand+Shift+K > 벨로시티 > 아래 Continuous Bezier 체크(스피드값 고정됨) > 인커밍/아웃커밍 인플루언스를 같은 값으로 맞춰주기 (인플루언스 : 선택한 키값의 완만/급한 그래프 모양 결정 ; 인플루언스 몇프로의 값을 유지하면서 변하는가 : 100%가 최종값 ↔  스피드(높낮이 결정) 0은 완전히 멈춤 / 100단위로 움직여도 미세함
  • Speed 그래프 : 높낮이, 빠르기 조절
  • Value 그래프 : 키 프레임 없이 그래프 변화가 젤 많을 때 빠르다 > 더 빠르고 싶으면 더 가파르게 or 스피드 그래프에서 해당 부분 높이 올리기 > ex) 로테이션일 때, 곡선 그래프에서 더 위로 올리면 -마이너스로 가서 해당 부분보다 반대로 지속
  • 슬라인더 컨트롤(익스프레션 에펙효과) : 뒤에만 더 자연스럽게 늘려지고 싶을 때 (펜툴로 추가해서 만져도 이지 값에는 변화가 없음 > 수정 시 같이 다시 잡아줘야 때 번거로울 때 사용) <콜로소 1강_34:11>
  • 일러스트에서 에펙으로 가져왔을 때 > 벡터 레이어를 쉐입레이어로 변환하는 법

-일러스트 선택 > 오른쪽버튼 > Create > Create Shapes from Vector Layer

  • 도형 만들 때 중간에 중심축 오는 방법

→ Preferences설정 > General > Center Anchor Point in New Shape Layers 체크

  • 같이 움직여야하는 속성 값이 달라서 안 맞을 때

→ Cmd + Shift + K > 인플루언스 인커밍/아웃커밍 확인하고 두 옵젝 그래프 속성 같게 맞춰주기

  • 파트별 1,2,3 나누고 이어서 작업할 때 > Null로 움직이고 잘라서 > 페어런트로 이어나가기
  • x/y 나눠서 포지션 키 찍을 때 : Seperate Dimenssion

→ 먼저 끊어주고→ 새 레이어 오른쪽 버튼 > Seperate Dimenssion > 그래프 에디터 들어가기 > 포지션 눌러서 아래쪽 다이아몬드 왼쪽에 세퍼레이트 디멘션 버튼 > 나가기 (Value graph는 x,y 나눠줬을 때만 조절하는 핸들 나옴)

  • 공이 무겁게 튕길 때 : 벨류 값이 너무 과하거나 or 그래프가 너무 가파르거나
  • echo 에펙효과 : 움직이는 전프레임 위치를 따라가는 것이 하나 더 생성

→ Starting intensity 낮추면 > 흐려짐

  • Butt capper : 무료 다운로드 하면 속성값 꺾이는 선 모양 변경 (안에 계속 안 들어가도 됨) -> 꺽인 부분 라운드 하고 싶다면 Alt + 아이콘 눌러주기 / 끝은 그냥 누르기
  • Create Nulls From Path.jsx : 다운로드하면
  1. Point Folllow Nulls : 각 패스마다 각각의 포지션을 포인터 Null로 생성, 움직임 가능
  2. Nulls Follow Points : 포지션만 따라옴 - 이미 움직인 패스에 애니메이션을 준 다음, Null이 붙게 되면서 다른 레이어를 페어런트 해서 따라오게 할 수 있다
  3. Trace Path : 포지션,로테이션 같이 따라옴 - 쉐잎 레이어의 특정 값을 숫자로 기억해서 애니메이션 되는 와정에도 그 숫자 값에 맞는 위치를 널 레이어로 표시해 준다, 다른 레이어 페어런트 가능 (ex) 줄기를 따라오는 잎사귀일 때, 움직임이 의도대로 따라오지 않을 때 널 레이어 위치 잡아줘서 이 trace path 널에 잎사귀 붙이기) ↔ 패스 이동하는 방향대로 로테이션 따라가는 것 말고 포지션만 남기고 싶을 땐 : 로테이션 값 안에 걸린 익스프레션 지우기 (Alt + 시계클릭)
  • Repeater에서 Anchor 포인트 Transform과 맞춰주기
  • 도형 베지어 패스로 만드는 법

→ 도형 그리기 > 오른쪽 버튼 > Convert To Bezier Path > <Create Nulls From Paths > Points Follow Nulls

  • *도형 레이어 안에 한 부분을 가리고 싶을 때 >> 가리고 싶은 부분을 레이어 위로 올려주고 Alpha Inverted Matte 해줘도 되지만, 여러개가 늘어날 경우 레이어가 복잡해짐. 따라서 효과창(Cmd + 5) > Set matte(알파/루마매트 기능) 적용 > 매트시킬 레이어 선택 ; 사용할 만큼만 사용하고 길이 자르기
  • 그림자 만들기 [ex) 화분 받침 생성 위에 병 그림자] : 움직임 준 레이어 밑으로 그림자를 따라 넣고 싶을 때

→ 움직임 레이어 Cmd+D : 복사 > 이름 Shadow 바꾸기(이동 안됨 : 컨트롤러에 엮여있기 때문에) >> 이펙트 Transform 적용 > 포지션 값 사선 잡아주기 > 이펙트 Set matte 이전껀 지워주고, 다시 넣어줘서 그림자 들어가고 싶은 레이어 체크 ; 움직임 레이어 컨트롤러 확인해서 스피드 조절 비슷하게 맞춰주기

  • 레이어 색상 전환 : 해당 레이어 선택하고 윗 검색창에 color > Stroke/Fill 키프레임 잡기
  • 선패스 따라가는 애니메이션 만들기

→ 선패스 만들고 > Trace Path 누르기 (Create Nulls From Path) : 패스 따라가는 널레이어 생성 > <고정> > 트레이스 패스 속도/벨류 값 조절 ; 벨류 값에서 빠르게 하고 싶을 때, 간격 좁게 해줄 수도 있음 > Obj를 패스에 페어런트

  • 트레이스 패스가 물체 뒤로 가는 것처럼 보여지고 싶을 때 : 움직이는 Obj 레이어 Set matte > 매트시킬 레이어 선택 후 Invert 체크 > * 전체가 다 안가려지는 오류 해결방법 * > Toggle Switches모드 누르고 > 반짝 아이콘 누르기 > 셋 매트 복사, 패스에 붙여넣기 적용

↔ 물체 앞으로 가는 것처럼 보여지고 싶을 때 : 셋 매트 Off 선택 키 찍어주기

  • Classic 3D 렌더러는 심도를 나타낼 수 있는 영상을 나타내기 적합 < 2Point view로 보기 >

↔ Cinema4d 렌더러는 뎁스감(두께)를 주기에 적합하다. (오른쪽 클릭해서 라이팅 가능)

  • 카메라는 틸트 움직임 가능하지만, 텍스트를 중심으로 카메라가 움직여지지는 않기 때문에 Null레이어 추가해서 카메라 페어런트 한 뒤, 널을 움직이면 텍스트 위주로 움직임 (단, 3D 아이콘 눌러줘야함)
  • 카메라 1모드 : 앞, 뒤 단순한 이동 때 사용 / 나의 위치 고정된 채로 고개 돌린다

↔ 카메라 2모드 : 복합적인 구조로 되어있을 때 사용하면 좋다 / 한 곳을 쳐댜보며 주변 움직임

  • 컴프가 무거워서 씬이 무거울 때

⇒ 1. 렌더 아웃세팅에서 Post-Render Action : import > 렌더 ( 컴프 내보내기와 동시에 파일 프로젝트 창에 불러오기 )

  • < 양쪽팔 움직임 대칭 캐릭터 만들기>

→ 원 만들고 Face 컴프로 묶기 > 안으로 들어가서 하나 더 복사 위로 올려서 색 바꾸기 > 아래있는 레이어만큼 보이게 하는 법 : 1) 아래 레이어 복사해서 위로 올려서 알파매트 or 2) 위 레이어 오른쪽 T체크 3) Set matte 이펙트 > 페이스(위) 페이스 셰도우(아래)로 페어런트 > 컴프사이즈 원에 맞게 수정→ 똑같이 왼쪽 팔 같은 자리에서 만들고 이름 바꿔주고 앵커포인트 선택(Y) > 팔 시작부분으로 바꾸고(오른쪽도 똑같이) > 스케일값 체인 푼 뒤, X값 -100 좌우반전 > 왼쪽으로 이동 > 검색창에 Path 쳐서 Trace path 널 생성 후 똑같이 설정 > 오른손 복제해서 왼쪽 이동 > 왼팔에 페어런트→ 패스로 다리 만들기 ( 관절 핸들 없이 리니어로 ) > l_leg 앵커 위로 맞추기 > c_position에 페어런트 > 다리 복제 R_leg > 버튼캡→ Speed 그래프에서 인플루언스 수치 조절 [아래 필기한 스케일이랑 같이 그래프 잡아주면서 진행하면 두번 일 안해도 됨 ] > 오래 머무는 부분 (들어오는 / 나가는) 수치 60-90 선에서→ 아까 잡은 c_position과 그래프 모양 맞춰주기 > 그래프 들어가서 인플루언스 수치 확인 > 똑같이 적용→ 똥 머리 앵커포인트 리본에 옮겨주고 > c_face 스케일값 복사붙여넣기 > 6프레임 뒤로 밀어주기(주된 움직임은 얼굴이기 때문에 쫀득함 살려주기 위해서)→ 팔 path 선택 > rotaion 키찍고 값 만들어가기 > U 버튼으로 포지션,로테이션 한번에 보기 > L_arm_로테이션 alt+시계클릭 > 돼지꼬리 > R_arm_로테이션에 걸어주기 > 패스도 똑같이 반대편 패스에 걸어주기 > (같은 방향으로 돌아가므로) L_arm_로테이션 익스프레션 끝에 / *(-1) / 곱하기 괄호 -1 / 연산 넣기→ 총 4개 키값 이지이지 =( L/R 다리패스 2개, R_arm 패스, 팔 로테이션 2개 ) > 3개 패스 먼저 잡고 > 인플루언스 모두 60 적용 > 로테이션도 60적용 (같은 설정값끼리 적용되기 때문 따로 적용) > C_position 그래프 값 확인하고 그래프대로 패스는 패스대로 묶어서 / 로테이션 따로 적용→ 마지막으로 발 로테이션 뛰는 순간에만 방향 맞춰서 바꿔주기 > 발은 땅에 붙어있는 순간 말고는 스피드 값 딱히 적용 안해도 됨 > 떠있는 값만 선택해서 이지이지 F9 > 수치 95→ [쫀득함 살려주기] : 주된 움직임 순서 > C_position > C_face > R_arm ( 민 팔 프레임 안에서도 path값 한번 더 밀어주기)→ 패스레이어로 눈코입 제작 > 흰색 눈동자에 검정색 동공 페어런팅 > 눈 감은 레이어 따로 만들기 > 마찬가지로 흰색 눈동자에 페어런트 > 검정색 눈동자 Set matte > 흰색눈동자 지정 (움직여도 안에 있어야 하기 때문) > C_eye 널 생성해서 흰색눈동자 여기에 걸기→ C_eye 오퍼시티로 눈 감기 조절 : 흰색 레이어 오퍼시티 값 선택 > opacity Alt 클릭 > 안에 있는 돼지꼬리 C_eye에 연결 > 흰색 레이어 익스프레션 복사 > 블랙아이에 붙여넣기 ; [ 추가 Tip ] 붙여넣는 방법 두가지: 1) 붙여넣을 opacity 옵션키 눌러서 넣기 2) 복사할 레이어 opacity 선택 후 / edit창 > Copy expression Only / > 붙여넣을 레이어 선택 Ctrl + V >→ c_eye 오퍼시티( 0,100 ) 찍고 두개 잡고 Hold( Ctrl + Alt + H ) ; [추가 Tip] : 모션이 빨라질 때, 홀드 키프레임 사용하면 튀지 않는다→ 얼굴 셰도우 작업 : face 레이어 복사 > 밑으로 내려주기 > 위치 조절 > fill 이펙트 적용 > 그림자색 > 오른쪽 T체크(레이어 아래로 오퍼시티 있는 곳에만 보여지겠다)

  • < 그네 타는 캐릭터 만들기 > _콜로소 7강

의자→ 패스로 그네 줄 만들고 패스 선택 > projects follow nulls 생성 > 아래있는 널레이어는 의자에 페어런트 > 위에있는 널레이어는 새로운 널 생성해서 위쪽 이동하고 여기에 연결 > 의자도 연결 > C_rotation 이름 변경 > 큰 로테이션 먼저 잡기 * [추가 Tip : 루핑 애니메이션 줄 때, 0프레임부터 시작하는 것보다 조금 간격을 두고 만들어 주는 것이 좋음 ]→ 그래프 에디션 > 이지이지하면 스피드가 다 0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멈춰보임 > 오토베지어 선택(아래 스위치 4개 중 맨 마지막꺼) > 끝과 끝 수치 -30으로 맞추기→ 페이스 / set matte로 페이스 셰도우까지 만들고 / 페이스를 셰도우에 페어런트 > 널레이어 생성 > Shift 누른 상태로 페이스 셰도우에 걸기, 앵커 맞추고 해제해서 > 반대로 얼굴을 널에 걸기 > 널레이어를 그네에 걸기 > C_face로 이름 바꾸기 > Rotation, Position 열어서 이동키 잡기 > 이동할 때 베지어로 펜툴(G) 핸들 곡선→ 다리 패스 > Trace Path > 프로그래스 100 > 다른 키 지우고 루프체크해제 > 발목부분중심 원 만들고 신발만들어서 > 트레이스 널패스에 Shift 누르고 페어런트 > 로테이션 익스프레션 지우기 > 따로 로테이션 찍어 주기 > 그래프 오토베지어로 만들고 스피드값 맞춰주기 > 반대편 신발 만들기 > 세부조정→ 머리끈, 머리 얼굴 뒤에 원으로 만들고 > C_face에 붙여주기 > 중심점 리본으로 > 로테이션 잡기 > 오토베지어 > 들, 나가는 수치 100 > 스케일값 비율 조절 > 스케일도 오토베지어 > 체인이 풀려있어서 X,Y 따로 움직임 > 처음부분 Outgoing Velocity 스피드 값 맞춰주기 [스피드 -40 / 40%] / 마지막 Incoming도 똑같이 > 머리 흩날리며 따라오는 잔상 느낌을 주기 위해 Echo 이펙트 적용 ( Operate는 Maximum으로 바꿔야 기존 색상 유지 )→ 나뭇잎 만들고 시작 할 부분 레이어 잘라준 다음 > 레이어 Posion 선택 > 오른쪽 버튼 > Seperate 눌러서 x,y 나눠주기 > 로테이션, 위치 잡고, 위치 가운데만 이지이지 > 인플루언스 수치 90 > 스케일 조절 > 나뭇잎 많이 만들어서 조금씩 포지션, 색 다르게 수정 > 풀에도 스케일 조정해서 텐션감 넣기→ 프로젝트 창 안에서 컴포지션 선택해서 컴포지션 아이콘에 넣어 생성 > Enable Time Remapping ( Ctrl + Alt + T ) > 작업했던 컴프 시간 프레임에 키 잡아주고 > 앞 뒤로 필요없는 키프레임 지워주기 > 옵션 키 누르고 시계 클릭 > 화살표 모양 클릭해서 Property > 1) loopout 혹은 2) 익스프레스에 loopout()치기 > 양끝 키프레임 잡아서 0프레임으로 이동 > 반복되는 루프 끝 1초 전에 잘라주기

  • 루핑 애니메니션
  • 세컨더리 액션
  • → 그네 줄 path에서 Trace path > 원하는 위치에 Null 레이어 생성 > path로 팔 만들기 > Point follow Nulls로 Null 레이어 > 어깨부분 레이어는 얼굴에, 팔 레이어는 그네 줄 널에 걸어주기
  • → 다리 패스 직선으로 만들기 > Buttcapper로 올 라운드 > 중심점 몸통쪽 시작으로 이동 > 다리는 C_face에 페어런트 > leg_로테이션으로 다리 전체 컨트롤 / 패스로 종아리만 컨트롤 > 그래프 컨트롤 > 오토베지어 조절 > 다리 복사 > 반대쪽 다리 만들기 / 색 변경 > 전체 로테이션 조금 다르게 줘서 다르게 시작할 수 있게 > 타이밍 조금씩 다르게 수정
  • 캐릭터
  • → 그네 줄 (front_line) + 컨트롤러 모두 잡고 > 복사 > 맨 아래로 내리기 > 연결 끊어진 Front_line2 잡고 단축키 E > 새로 만든 널로 연결 > C_rotation 이지이지
  • → 쉐입레이어로 의자박스 만들고 > 더블클릭 > 바운딩박스로 복사해서 그대로 왼쪽 > 색 다르게 지정
  • → 점프할 때 보이는 발바닥 만들기 > 쉐입 레이어로 만들기 > 신발 레이어에 걸기 > 올라갔을 때만 보이게 레이어 끊기 > 패스 값 열어서 얇게 보이는 부분 조절 > 가운데만 수치 90 주기 > 복사해서 마이너스 스케일로 뒤집기 > L_신발레이어에 걸기
  • → 검정색 눈동자 미세 움직임 > 위를 쳐다볼 때만 이지이지 > 인플루언스 값 90으로 크게 주기
  • → 감긴 눈 ↔ 뜬 눈 / 오퍼시티 반대 설정 : 감긴눈 Opacity 옵션 익스프레션에 > 100- 치고 돼지꼬리로 c_eye 선택 > 들어온 익스프레션 전체 값 복사 > 양쪽 눈에 붙여넣기
  • → C_position 널 복제2 > 맨 위로 올려주기 > C_eye/눈썹/입 걸기 > 이름 C_look 변경 > 인디케이터 0프레임에 놓은 상태에서 c_position에 페어런트 > 움직임 위치 확인하고, 벗어난 경우 해당 위치값만 수정 > 전체 키프레임 두프레임 정도 밀어주기
  • 디테일작업
  • → 전체 세부조정
  • → 팔은 키프레임 수가 몸통과 딱 맞지 않을 경우, 그래프 모양보고 비슷하게 맞춰주기
  • → 포지션 움직임에 맞춰서 손 다리 패스 키 움직이기(인체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생각하면서) > 마지막에 Alt + Buttcapper( 관절 움직임 잡기 편하게 마지막에 ) : 관절 라운드
  • → 팔다리 눈 켜주고 > 양다리 path검색 선택 후 > 트레이스 패스 100프로 맞추고 루프끄기 > 신발 그리기 ; [추가 Tip] : 발목부분 라운드에 맞춰서 발목 중심점인 원 그리기(로테이션 시, 튀지않음) > 원 선택 위에 합쳐서 신발 그리기] > 복사 > 스케일-100, R_shoes > 아까 만든 트레이스패스 널레이어에 각각 붙여주기 > 널레이어 로테이션 alt누르고 익스프레션 해제 (내가 컨트롤 할 수 있게) > 보기 편하게 널레이어 눈 끄고 샤이 스위치로 숨겨주기
  • → 이펙트에 warp 쳐서 스트레치 극대화 > 스타일 squize로 바꿔주기 > 처음, 뒤만 강조( 전부 들어가면 꿀렁꿀렁해지므로 ) > 퍼지고, 중심축( 버티컬 디스트로션 ) 내려올 수 있게 ; 더 극대화되려면 ex) 내려오는 순간부터 퍼지면서 내려오는 것이 아니라, 내려올 때는 더 길쭉하게 > 훅! 떨어지기
  • → [스쿼시 앤 스트래치] C_face 널 레이어에 ( 포지션에다가 주면 팔,다리 모양도 다같이 변하기 때문에) 스케일 조절 내려가는 부분 퍼지게 ( 주의 : 링크 풀고 전체 면적 같게 ex) 100 : 100 / 80 : 120 )
  • → 우선 팔,다리 눈 꺼주고 > C_Position의 포지션 키만 컨트롤 > 큰 움직임부터 > 위아래 포지션 값 > (뛰기 전/앉기 전 극대화 ex) 내려가는 부분 조금 뛰었다 앉아준다던지(텐션), 올라가는 부분 잠깐 앉고 뛴다던지; 사전기대자세 잡기 > 전체 잡고 Linear 인터포레이션( 쓸데없는 곡선 방지 ) > 속도그래프 조절
  • → 똥머리는 리본에 페어런트 > 새로운 널 레이어 생성 > Shift 키 누른 상태로 face컴프에 페어런트( 컴프 중심점과 널 레이어 같아짐 ) > 페어런트 다시 끊어주기(중심점 맞추기용) > 반대로 Face컴프랑 리본을 널 레이어로 페어런트 > C(ontrol)_face로 이름 바꾸기 > c_face 널 복사 > c_position 이름 바꾸기 > c_face, 양쪽팔을 c_position 널에 페어런트
  • → 밖에서 위치 잡고 > 패스로 곡선으로 앵커포인트 살려서 팔 만들기 > 버트캐퍼로 라운드캡 > 손 원 만들기 > 크리에이트 널 프롬 패스( 일반적으로 페어런트 하면 팔끝 손목부분 포지션 값 변했을 때 안따라옴 ) > 트레이스 패스 눌러서 트레이스 패스 값 100으로 맞추고 키프레임 꺼주고(나머지 찍힌 키 삭제) 루프 꺼주기 > 손을 이 널에 걸어주기
  • ⇒ 2. Post-Render Action : import & Replace Usage > 렌더 (해당 컴프 파일 바로 대체 → 수정하고 싶으면 프로젝트 컴프 눌러서 들어가서 수정)
  • <카메라 >
  • → * obj을 따라가면서 없어지는 라인 * : 패스 선택 > Add > Trim Paths > 트레이스 패스로 잡아논 키프레임 End 값에 컨트롤 복사 > Start 값에도 복사 후, End보다 살짝 뒤로 밀어주기
  • 원이나 라운딩 도형일 때 널 위치 약간씩 어긋나는 오류 * > 이유 : 패스(마스크)도형 아닌 쉐입 레이어를 깨뜨려서 다시 베지어 패스로 변환했기 때문에 패스 자체를 완벽하게 인식하지 못한 경우 >> * 해결 방법 : 패스에서 패스로 가져오기 * > 기존 레이어 선택된 상태에서 두번째 마스크 도형 선택하고 다시 원 그리기 > 마스크 패스선택 > Ctrl+C 복사하고 지워주기 > 기존 오류 패스 레이어 누르고 > 첫번째 쉐입레이어도형 다시 선택된 상태에서 펜툴로 한 번 클릭 > Shape 레이어 생성 확인 후 그대로 Ctrl + V = 원 패스 들어간 것 확인 > 기존 오류패스 지우기 > 패스 선택하고 Point Follow Nulls 클릭 > 각각 생성된 널레이어 이외의 새로운 널 레이어 추가(Cmd + Shift + Alt + Y) 해서 > 나머지 널 레이어를 전체 페어런트 ; [추가 Tip] 전체 널로 스케일을 줄여주면, 컨트롤러만 스케일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상한 모양이 나옴 >> * 해결방법 : 쉐입레이어까지 같이 페어런트 해주기 <콜로소 4강_00:57>
  •  
  • → 쉐입 레이어 모양을 변형시키고 싶을 때 : (Rectangle) Path선택 후 우클릭 > Convert to Bezier Path
  • → 상하좌우(Pan) : 휠클릭 드래그
  • (Adjust composition duration 체크 : 선택된 레이어 길이만큼 생성 / 해제 : 전체 꽉차게 프리컴프 )
  • (솔리드나 쉐입레이어에선 비활성화)


  • <자전거타는 캐릭터 만들기>

→ C_rotation 널레이어 생성 > 회전페달에 걸어주기

→ 발판레이어를 C_rotation에 걸기

→ 1) C_rotation 로테이션 옵션키 > time*360 (1초에 360도 돌기)

→ 2)널레이어 생성 > 이름 C_effect로 바꿔주기 > 이팩트창 : Angle control 적용 > 2바퀴 설정 > C_rotation을 이팩트에 걸음

→ 양쪽 바퀴널에 C_rotation 익스프레션 붙여넣기

→ 발판 레이어 선택 후 로테이션 옵션 키를 C_rotation에 걸기 > 페달 익스프레서 맨 마지막에 -1 추가 (페달이 수평 유지하면서 회전함) > 양쪽 페달에 적용

→ 윗 페달에 Angle control 적용 > 옵션끝에 + 추가 후 효과에 페어런트 > 돌아감에 맞추면서 앵글 컨트롤 키 잡기

→ 페달 15초까지(2바퀴 도므로) 키 찍고

  1. 찍은 익스프레션 눌러서 loopout(”cycle”)
  2. 화살표버튼 > property > loopout 싸이클

→신발을 발판 위로 놓고 페달 레이어에 페어런트

→ 몸통 위아래 모션주고 루프아웃싸이클 반복

→ 엉덩이 쿠션도 스케일 조정 > 이지이지 > 루프아웃싸이클

→ 팔 패스 모션 잡아주기 > 패스를 looping 시켜주는 패스 익스프레션 넣기 <valueAtTime(time % key(numKeys).time)>

→ 다리 만들고 > points follow nulls 선택 > 편의를 위해 널레이어 사이즈 좀 줄여주기 > 첫레이어와 중간레이어_힙에 페어런트 > 발목_발에 페어런트

→ 움직임에 맞춰서 무릎 포지션 키 잡기 > 튀는 값은 포지션값이므로 해당 키 우클릭 > Rove across time

→ 팔 복사해서 밑에 로테이션으로 조금 보이게 그림자 넣어주기

→ 바이크 움직이 부분에 마크 걸기 ( Shift + 윗화살표 )

→ 모든 바이크가 레이어 걸려있는 bike선택해서 앵커값 뒷바퀴로 옮기고 > 로테이션값으로 앞바퀴 드는 모션

→ 바이크 복사 > 앵커포인트 앞바퀴로 > 바이크1을 2에 페어런트 < 로테이션 준거 이후로 자르고 ( Alt + [ ) > 로테이션 뒷바퀴 들기&제자리

→ 바이크 들기 전 사전 기대동작 (더 아래로 내려갔다가 튕기는 모션) > Ctrl+R 줄자로 바퀴 선 체크 후에 하면 편함

→ 선에 맞춰서 바퀴레이어 스케일 찌그러졌다 펴지는 모션 > 바퀴랑 바이크 들어올리는 부분 같이 이지이지 > 스피드 키 > 바퀴 스케일 링크 다시 걸고 한번에 > 위에 좀 더 오래 머물수 있게 그래프 만지기

→ 바퀴는 중간 값만 한두프레임 뒤로 밀기

→ 뒷바퀴 들리는 부분 마커표시(헷갈림 방지) > 앞에 끝난 상황에 맞춰서 스케일 조정

→ 움직이는 바닥 만들기 > 패스 > 트림패스 > offset 익스프레션 time*-360 (반대로 이동)

→ 움직이는 풀 만들기 > 패스 > Effect창 Offset 적용 > Shift center to 키찍기 > 컴프 사이즈 확인 후 > X값에 -1500 > 루프아웃싸이클

→ 전체 크기 변화 > 어드저스트먼트 레이어( 자체로는 변화X / 레이어에 이펙트 넣게 되면 아래 레이어들에 영향이 간다 ) > Effect창 Trasform > 조정